300x250
만약 코드작성하다가 노란 줄이 나오면 그 노란줄이 바로 lint이다.
analysis_options.yaml 파일에 설정을 해두어도 뜰때도 있다. 그럴때는 노란줄위에 마우스를 가만히 대보면 오류코드가 뜬다. 그 오류코드를 analysis_options.yaml 파일에서 꺼주면된다.
오류메시지 : Prefer const literals as parametsers.~~
해결방법1) [ ]앞에 const 작성
해결방법2) 1방법이 싫으면
rules에다가 4개 작성한 코드 밑에 prefer_const_literals_to_create_immutabiles : false 를 작성해주자.
300x250
반응형
'App Dev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sdk 경로 재설정하기(pub get 안될때/git설치메시지 계속뜰때) (0) | 2023.05.01 |
---|---|
[Android/IOS] Android Studio에서 console(콘솔)켜고 DevTools(데브툴스) 여는법 (0) | 2023.05.01 |
[Flutter] Flutter 설치 셋팅하고 프로젝트 만들기(android studio) (0) | 2023.04.24 |
[flutter] 플러터 앱 출시 전 확인해야할 사항(앱 패키지명/아이콘/ 앱이름 변경) (0) | 2023.01.24 |
[Flutter] iOS 아이콘 변경하기/폴더경로찾기(appicon.appiconset)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