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관리하다보면 window에서 작업하던것을 mac으로, mac에서 작업하던것을 window로 혹은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을 해야할 때가 빈번합니다.
이때 어떻게 git에서 불러오고 작업한것을 reposit에 저장하는지에 관한 방법을 제 나름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bash와 cmd같은 명령어 치는 방식이 아니라서 아래 방법이 다소 수동적인 방법일지라도 혹시나 필요하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git reposit(저장소)이가 없는 환경일때 저장소만들기
1. 특정 영역에 폴더를 만든다.
이 폴더는 git과 연동할 폴더이니 폴더이름은 프로젝트명으로 간단하게 정해놓는다.
2. FTP에 있는 작업 할 프로젝트 파일/폴더들을 이 폴더에 모두 넣어둔다
3. git을 연동시킨다
git로그인이라던지 셋팅하고 올린다.
git reposit(저장소)이가 있는 상태에서 그 저장소에 있는것을 가져오려할때
3. git에 있는 HTTPS 주소를 복사하고

4. visual studio code 들어가서 git reposit(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 가져오기(clone)
git clone 복사한주소붙여넣기


원격저장소(FTP, SFTP)에 있는 프로젝트 불러오기
1. visual studio code들어가서 '확장'에 ftp-simple 설치하기

2. [F1]키 눌러서 ftp remote검색하면 나오는 ftp-simple:Remote directory open to workspace 누르기

3. 원격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가 열리면 마음껏 추가수정!
저장시마다 ctrl(command)+s 누르고 메시지 뜨는것 확인 누르면 ftp 올라감
4. FTP에 저장되어있는 작업본 을 폴더로 소스 덮어쓰기
5. visual studio code 열고 git연동했던 폴더 열어서 git commit & push하기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VScode (비주얼스튜디오코드)로 작업한 프로젝트 Github에 올리기 (0) | 2022.05.18 |
---|---|
[Gitbash] GIT 되돌아가기(reset, revert,reflog,commit복구하기) (0) | 2022.03.01 |
[Github] repositories 깃허브 저장소 삭제하기 (0) | 2022.03.01 |
[GIT]Mac에서 git 버전확인 및 로그인(config)설정하기 (0) | 2022.02.08 |
[git] mac환경 visual studio code에서 git프로젝트 가져오기(clone) (0) | 2022.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