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반응형 폰트 사이즈 em과 vw를 사용하면서 최소로 페이지를 줄여버릴때, 제일 작은 폰트사이즈는 이정도로 했으면 좋겠다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 방법을 정리해봅니다.
em
em은 부모요소의 폰트사이즈를 기반으로 표현한 측정 단위입니다.
body {
font-size: 16px;
}
p {
font-size: calc(1em + 12px);
}
body의 폰트사이즈가 16px일때, 그 안에 속해있는 p태그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렇게 되면 부모 요소인 body로 인해 1em사이즈가 16px일것이고 여기에 +12px가 되서 p태그의 폰트사이즈는 28px이 됩니다.
p태그는 절대 28px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vw
VW는 뷰포인트 width 너비의 퍼센테이지를 부여해서 표현한 측정단위입니다.
body {
font-size: calc(1vw + 12px);
}
body태그는 뷰포인트 너비의 1%로 측정된 값에 12px이 더해진 값으로 설정됩니다.
뷰포인트 크기에 관계없이 폰트 사이즈가 12px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 폰트 사이즈 단위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300x250
반응형
'Web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input 태그 위아래 가운데정렬하기 (0) | 2024.11.26 |
---|---|
[CSS] 폰트 사이즈 단위에 대하여 간단정리(em,vw,vh,px,rem) (0) | 2023.02.08 |
[css] 나눔스퀘어라운드 웹폰트 적용하는 방법 (0) | 2023.01.30 |
[web] 키보드 활성시 ui밀림 줄어듬 현상 방지방법 / 하단 고정 레이아웃 이슈 참고사이트 (0) | 2022.07.12 |
[css] 두줄로 넘어가지않게 방지하는 옵션 (0) | 2022.01.31 |
댓글